채무자감치 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감치란? 재판 중에 소란을 피우거나 혹은…
사망자재산조회 ,고인채무조회 하는 방법 총정리

사망자재산조회 방법 대해서 알아봅시다.
부모님이 사망하신 후 상속의 상황에 마주하면 처리할 일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상속재산 및 생전 증여 재산의 파악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상속재산 및 생전 증여 재산의 파악 방법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재산 및 생전증여 재산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
채무 승계 회피
상속을 통해 재산뿐만 아니라 부모님의 채무도 승계됩니다.
부모님의 채무가 재산보다 큰 경우, 상속인은 그 채무를 승계받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속인은 적절한 상황파악을 통해서 채무승계를 피하기 위해 한정승인이나 상속포기 같은 조치를 취해야만 하죠.
세금 최적화
상속재산이나 증여재산의 분할 방법에 따라 세금 부담이 달라집니다.
또한 기간 내에 상속 신고와 납부를 해야하고 이를 어길 시에는 가산세를 물게 되죠.
그렇기에 이를 위해서 재산의 파악은 필수적입니다.
합리적인 재산 분할
생전에 특정 상속인에게 많은 증여를 한 경우 추후에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모든 상속인이 공정하게 상속받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상속 및 생전증여재산을 파악하는 방법
재판 외 파악방법
상속인들이 직접 정보를 수집하여 재산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부동산, 금융재산, 채무 등을 확인하는데, 이 방법은 시간적으로 비교적 빠르게 진행됩니다.
재판 내 파악방법
상속재산 분할심판을 통해 재판 내에서 재산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법원의 도움을 받아 상속 및 증여 재산의 정보를 얻게 될 수 있습니다.
안심상속 원스톱 조회 서비스
한국에서는 부모님 사망 후 6개월 이내에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에서 ‘안심상속원스톱조회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망 당시 부모님 명의의 금융재산, 부동산, 자동차 등의 사망자재산조회 를 할 수 있습니다.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서비스
사망 후 6개월이 지나면 가까운 은행을 방문하여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그러나 금융거래 내역의 한계 때문에, 특정 거래를 파악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파악
부동산의 경우, 주소를 알고 있다면 부동산 등기부를 조회하여 소유권 이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적도를 통해 해당 지역의 부동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여재산의 파악
만약 재판 중이라면, 판사의 명령에 따라 정보 접근이 용이하나 재판이 아닐 경우 정보 접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민센터나 재산세 납부 내역을 통해 파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해외 거주자의 상속재산 및 생전 증여재산 파악
해외에서는 한국의 재산을 파악하기가 더 복잡합니다.
이름 변경 등의 문제로 인하여 별도의 동일인 증명서 준비가 필요하며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